목록분류 전체보기 (62)
Live Today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1UiOm/btrJGVgYsai/oR88lbWz0cvd8Ypnf1WKpk/img.png)
📍Array(배열)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이름으로 그룹핑해서 관리하기 위한 자료구조. index와 값의 쌍으로 구성 index는 값에 대한 유일무이한 식별자(마치 주민번호)( 리스트에서 인덱스는 몇 번째 데이터인가 정도의 의미를 가짐) 논리적 저장 순서와 물리적 저장 순서가 일치 => index로 해당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. (O(1)) 연속된 메모리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. 배열은 선언과 동시에 크기를 지정하며 배열의 크기를 바꿀 수 없다. 장점 인덱스를 통한 검색이 용이함. 연속적이므로 메모리 관리가 편하다. 단점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엘리먼트가 삭제되면, 삭제된 상태를 빈 공간으로 남으므로 삽입/삭제 연산에 불리함. 정적이므로 배열의 크기를 컴파일 이전에 정해주어야 한다. 컴파일 이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JWhs/btrI2Yr0UHy/EEqBpDNlENejXOGifsRu31/img.png)
자료구조란? 여러 데이터들의 묶음을 저장하고,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것이다.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구조(집합) 자료구조를 배우는 이유 ✔️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,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자료구조를 사용한다. ✔️ 대부분의 자료구조는 특정한 상황에 놓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다. 많은 자료구조를 알아두면,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상황에 가장 적합한 자료구조를 빠르게 찾아 데이터를 정리하고 활용하여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다. 이것은 문제 해결 능력을 필요로하는 알고리즘과 굉장히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. 결국 문제해결을 하기 위해서 배운다. 💡 자료를 더 효율적으로 저장하고,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며, 잘 선택된 자료구조는 실행시간을 단축시켜주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