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ve Today
[운영체제]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 본문
반응형
-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
- 코드(Code) 영역
- 프로그램 코드 자체
- 주기억장치에 CPU가 해석할 수 있는 Binary Code 상태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 영역을 뜻한다.
- CPU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계어 명령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공간
- 데이터(Data) 영역
- 프로그램의 전역 변수(Global Variable)나 정적 변수(Static Variable)의 할당을 위해 존재
- 스택(Stack) 영역
- 지역 변수(Local Variable) 할당과 함수 호출 시 전달되는 인수(Argument) 값 위해 존재
- 호출된 함수의 수행을 마치고 복귀할 주소 및 데이터(지역변수, 매개변수, 리턴값 등)를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
- 힙(Heap) 영역
- 동적 할당
- 프로그래머가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
- 코드(Code) 영역
🌐 참고 링크
'Computer Science > 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운영체제] 인터럽트 (0) | 2023.02.05 |
---|---|
[운영체제] Context Switching (0) | 2023.02.01 |
[운영체제] 프로세스 생성 단계 (0) | 2023.01.30 |
[운영체제] 프로세스 상태 (0) | 2023.01.29 |
[운영체제] 사용자 수준의 스레드(ULT) 와 커널 수준 스레드(KLT) (0) | 2023.01.28 |